English/문법(9)
-
very delicious?
"The food was very delicious" is incorrect. Some adjectives are called "non-gradable". They are not normally used with "very" or "a bit", for instance.These adjectives already have an idea of "perfection" about them. Delicious is one (others: ideal, terrified, huge, freezing, fascinated, etc.). An adverb used in front of these adjectives is "absolutely". Therefore, The food was absolutely delici..
2014.11.11 -
Make out - 7가지 뜻
1. I can't make out what you're saying. : hear or see (~을 알아보다(듣다)) 2. I made the check out to the president. : make a check payable ((문서,수표 등을) 작성하다) 3. Don't make out like you know the answer! : pretend (가장하다,~인 체하다) 4. How is your son making out at school ? : to progress / do / perform (해 나가다) 5. I saw them making out at the party. : to kiss passionately (열렬히 키스하다) 6. I can't make out what it..
2014.06.15 -
Expressing your opinion
I think ~ I believe ~I feel ~I suppose ~ I guess ~ (제일 약한 표현)-------------------------------------In my opinion, ~In my view, ~* 이 표현은 콤마(,)가 필요하다-------------------------------------From my viewpoint, ~From my point of view, ~From my perspective, ~* 이 표현은 콤마(,)가 필요하다-------------------------------------According to me, ~It seems to me that ~
2014.06.15 -
used to
1. used to + V (base form) / ~하곤 했다.I used to live in Seoul.예전에(과거한때) 서울에 살았다. 2. be used to + V (base form) / ~하는데 사용된다.It is used to clean the wood floor.이것은 나무바닥을 닦는데 사용됩니다. 3. be used to + N (Gerund) / ~에 익숙하다.She is used to living alone.그녀는 혼자사는데 익숙하다.
2014.05.29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 결과적 용법
내 맘대로 안되는 동사 (무의지 동사) 뒤에 to 부정사가 나오면 결과로 보면 된다.'~해서 to 부정사 하다' 정도로 해석하면 될듯.무의지 동사 : grow up, live, awake, wake upShe grew up to be a teacher. 그녀는 자라서 선생님이 되었다.My grandparents lived to be ninety. 내 조부모님들은 80세까지 사셨다.He awoke to find himself famous. 그는 일어나서 유명해져있는 그 자신을 찾았다.(그가 유명해져있는걸 알았다) 동작의 전후 관계가 뚜렷하고, 주로 무의지 동사와 결합한다.의도되지 않은 결과 앞에는 only, never 등의 부사와 함께 쓴다.(to 부정사가 only, never가 붙어있으면 결과로 보면 된..
2014.05.25 -
know of 와 know about
know 는 "잘 알고 있다" 는 뜻I know him -> 그와 안면이 있고 잘 알고있다 know of 는 "~에 대해 간접적으로(들어서)알다" 라는 뜻I know of him -> 그를 잘 알고 지내지는 않지만 들어서 알고있다 know about 는 "~에 대해 지식이나 정보를 알고있다" 라는 뜻I know about him -> 그의 일을 알고 있다, 그에 대해서 알고 있다
2014.05.25 -
장소부사
장소부사에는homedowntownindoors (* indoor는 형용사로 "실내의"란 뜻)outdoors (* outdoor는 형용사로 "옥외의"란 뜻)overseasabroadherethereupstairsdownstairs 가 있다. 그러므로 장소부사 앞엔 전치사 to를 쓰지 않는다.I have to go home (I have to go to home (X))그러나 '~로 부터'의 의미로 from을 쓸 때에는 from + 명사 형태로 쓴다. 수업시간에 한 선생님이 home 이나 downtown앞에 to를 쓰지않는다고 말하면서왜 안쓰는지는 모르지만 그냥 그렇게 안쓴다고 설명한적이 있었다.미국인들도(심지어 teacher인데도) 문법을 다 알진 못한다.
2014.05.19 -
I ? me ?
사람들이 가장 흔하게 실수 하는것이 It's me 라고 한다.me는 목적격에 들어가는 object pronoun이므로 저 문장에는 맞지 않다.고로 문법적으로는 It's I 가 맞는것이다.하지만 비록 문법적으로는 틀렸지만 많은 사람들이 말할때 저렇게 사용하고 있으니이젠 보편화되었다고 한다. 오늘 책을 읽다가 우연히 발견한 문장.굉장히 쉬운것이나 자칫 흘려버릴수 있는 부분.잊어버리지 않기 위해서 써놔야긋다. 『비교급 사용』1. 주어끼리 비교He likes you more than I (그는 나보다 (내가 너를좋아하는것보다) 너를 더 많이 좋아한다)2. 목적어끼리 비교He likes you more than me (그는 나보다 (나를 좋아하는것보다) 너를 더 많이 좋아한다)그래서 흔히 나는 그보다 더 키가 작..
2014.05.11 -
강조하고 싶을때
1. 평서문 강조- 일반 동사 앞에 do, does, did 를 넣으면 강조형태가 된다.I do love you (주어(S) + 동사(V) + not only~, but also~ 가 강조된 경우)Not only is you pretty, but also smart.Not only do I believe, I know. (나는 믿을뿐 아니라 알고있다)* 이때도 강조이므로 주어앞에 do(does, did)를 쓴 후 주어 뒤에 일반동사 원형을 쓴다.
2014.05.11